본문 바로가기
정신 건강

조현병의 주요 증상과 임상적 특징에 대한 고찰

by 키티의 정보 창고 2022. 7. 5.
반응형

조현병은 혼란스러운 언어, 망상, 환각을 특징적으로 나타내는 매우 심각한 정신장애이다. 조현병은 정신증에 속하는 대표적인 장애로서 현실검증력이 손상되어 비현실적인 지각과 비논리적인 사고를 나타내며 혼란스러운 심리상태에 빠져들게 된다. 이러한 증상들로 인해서 일상생활의 적응에 필요한 심리적 기능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증상이 시작되는 초기에 적절하고 집중적인 치료를 받지 못하여 만성화되면, 조현병은 한 인간을 황폐화하므로 사회에 적응하기 어려운 사람으로 만들 수 있는 무서운 정신장애이기도 하다. 조현병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주요한 증상을 잘 이해해야 한다. 

주요증상과 임상적 특징

조현병의 가장 대표적인 증상은 망상이다. 망상은 자신과 세상에 대해 잘못된 강한 믿음이다. 외부 세계에 대한 잘못된 추론에 근거한 그릇된 신념으로서 분명한 반 중에도 불구하고 견고하게 지속되는 신념을 망상이라고 한다. 망상의 주제는 다양하며 그 내용에 따라 피해망상, 과대망상, 관계망상, 애정망상, 신체망상 등으로 구분된다. 피해망상은 흔히 정보기관, 권력기관, 단체 또는 특정한 개인이 자신을 감시하거나 미행하며 피해를 주고 있다는 믿음을 말하며, 과대망상은 자신이 매우 중요한 능력과 임무를 지닌 특별한 사람이라는 망상이다. 관계망상은 일상적인 일들이 자신과 관련되어 있다는 잘못된 믿음이다. 예컨대, TV나 라디오의 뉴스, 중요한 인물이나 지나가는 사람의 언급이 자신과 관련되어 있다는 믿음으로서 다른 망상과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애정망상은 유명한 사람과 사랑하는 관계라는 망상이며, 신체망상은 자기 몸에 매우 심각한 질병이나 증상이 있다는 믿음이다. 이러한 망상의 내용은 대부분 매우 엉뚱하거나 기괴하여 보통 사람이 이해하기가 매우 어렵다. 조현병의 다른 핵심 증상은 환각으로서 현저하게 왜곡된 비현실적 지각을 말한다. 외부 자극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어떤 소리나 형상을 지각하거나 또는 외부 자극에 대해서 현저하게 왜곡된 지각을 하는 경우에 환각이라고 할 수 있다. 환각은 감각의 종류에 따라 환청, 환시, 환후, 환촉, 환미로 구분된다. 조현병에서 가장 흔한 환각 경험은 환청이다. 환청은 아무런 외부 자극이 없는 상황에서 어떤 의미 있는 소리나 사람의 목소리를 듣는 경우를 말한다. 조현병 환자들은 흔히 자기 행동이나 생각에 대해서 간섭하는 목소리나 누군가 두 명 이상이 서로 대화하는 목소리를 듣게 되는 환청을 경험하는데, 이러한 환청을 경험하는 사람은 대부분 조현병으로 진단된다. 환시는 시각적 형태의 환각 경험으로서 환청 다음으로 흔하게 나타난다. 환후는 후각적 환각으로서 “음식에서 독약 냄새가 난다”고 느끼는 경우가 그 예이다. 환촉은 “내 피부에 벌레들이 기어 다닌다”고 느끼는 경우와 같은 촉각적 환각을 말한다. 환미, 즉 “독약을 섞어 밥맛이 쓰다”는 경우와 같은 미각적인 환각도 있다.
 혼란스러운 언어는 비논리적이고 엉망이면서 와해한 언어를 뜻하며 조현병의 전형적 증상 중 하나이다. 조현병 환자들은 말을 할 때, 목표나 논리적 연결 없이 횡설수설하거나 목표를 자주 빗나가 무슨 이야기를 하고자 하는지 상대방이 이해하기 어렵다. 이러한 와해한 언어 행동은 조현병 환자들이 사고장애로 인하여 말하고자 하는 목표를 향해 사고를 논리적으로 진행하지 못하고 초점을 잃거나 다른 생각이 침투하여 엉뚱한 방향으로 생각이 흘러가기 때문에 나타난다. 조현병 환자들은 심하게 혼란스러운 행동이나 긴장 중저가 행동을 나타낸다. 심하게 혼란스러운 행동은 나이에 맞는 목표지향적 행동을 하지 못하고 상황에 부적절하게 나타내는 엉뚱하거나 부적응적인 행동을 말한다. 예컨대, 며칠씩 세수를 하지 않거나 계절이나 상황에 맞지 않는 옷을 입고 나가거나 나이 많은 사람에게 반말하는 행동을 나타낸다. 긴장증적 행동은 마치 근육이 굳은 것처럼 어떤 특정한 자세를 유지하는 경우를 말한다. 흔히 부적절하거나 기괴한 자세로 몇 시간씩 꼼짝하지 않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러한 행동에는 긴장된 자세를 유지하면서 이를 변화시키려는 다른 사람의 노력에 저항하는 긴장증적 강직증, 긴장된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환경을 전혀 인식하지 못하는 긴장증적 혼미 중, 긴장된 자세를 움직이게 하려는 지시나 시도에 능동적으로 저항하는 긴장증적 거부증, 목적도 없고 유발자극도 없는 상태에서 과다행동을 보이는 긴장증적 흥분 증이 있다. 마지막으로, 조현병 환자들은 다양한 음성 증상을 나타내는데, 대표적인 음성증상은 감소한 정서 표현과 무의욕 증이다. 감소한 정서 표현 은 외부 자극에 대한 정서적 반응성이 둔화한 상태로서 얼굴, 눈맞춤, 말의 억양, 손이나 머리의 움직임을 통한 정서적 표현이 감소한 것을 말하며, 무의욕 증은 마치 아무런 욕망이 없는 듯 어떠한 목표지향적 행동도 하지 않고 사회적 활동에도 무관심한 채로 오랜 시간을 보내는 것을 뜻한다. 이 밖에도 말이 없어지거나 짧고 간단하며 공허한 말만을 하는 등 언어 반응이 빈곤해지는 무언어증 자극으로부터 쾌락을 경험하는 능력이 감소하는 무쾌락증, 다른 사람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관심이 없는 비사회성과 같은 증상을 나타낼 수 있다. 조현병 환자는 매우 이질적인 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조현병이라는 같은 진단을 받은 환자들 간에도 나타내는 증상의 양상이 매우 다르다. 따라서 DSM-4에서는 조현병을 환자가 나타내는 주된 증상에 따라 분명한 망상과 환청을 나타내는 망상형, 긴장증적 증상을 나타내는 긴장형, 음성증상을 주로 나타내는 해체형, 다양한 증상을 나타내어 어떤 유형으로 분류하기 힘든 감별 불능 형, 증상이 약화한 상태로 지속되는 잔류 형으로 구분했다. 그러나 이러한 하위유형의 구분이 모호하다는 점에서 DSM-5에서는 조현병의 하위유형을 폐기하는 대신 긴장증이 수반되는지 여부만을 고려하고 있다. 근래에는 조현병 환자들이 나타내는 다양한 증상을 양성 증상과 음성 증상으로 구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