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분석을 통한 상담 목표는 내담자가 불안을 야기하고 있는 억압된 충동을 자각하게 하는 것이다. 프로이트에 따르면 왜곡되고 억압된 성적 쾌락이 내담자의 주요한 문제가 된다. 정신분석 자는 억압해서 무의식에 숨겨진 비밀을 찾는 작업을 수행한다.
1. 상담 목표
프로이트는 그의 환자인 늑대인간에게 “정신분석 자는 발굴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고고학자처럼 가장 깊숙이 감추어진 가장 값진 보물을 찾을 때까지 환자의 정신을 한층 한 층 벗겨가야 한다."라고 말했다. 당신의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당신의 숨겨진 보물을 찾아라. 당신이 만든 수수께끼는 당신이 해결할 수 있다. 도저히 실마리를 잡지 못할 정도로 당신이 혼란스럽다면 전문가를 찾아라. 억압된 내용을 표현하고 밝힘으로써 당신은 보다 진솔한 당신의 모습을 발견할 것이다. 비록 그러한 내용이 죄의식과 공격적인 내용일지라도 그것을 인간의 모습으로, 당신 자기 모습으로서 수용하는 용기가 필요하다. 진실한 사랑과 보람 있는 일을 통해 당신의 원초적 욕망을 승화시키는 것도 결국 당신이 결정할 문제이다.
인간에게 문제가 되는 것은 자신도 잘 모르는 내용이다. 자기도 모르게 의식하지 않으려고 숨겨 버린 내용이다. 직면해서 똑바로 보면 괴롭고 두렵고 불안하기 때문에 생각하기 싫어 마음속 깊은 곳에 숨겨 버린 내용이다. 당신은 쾌락을 추구하는 본능적 욕망과 현실의 갈등에서 비롯된 불안을 어떻게 처리하는가? 인간은 누구나 불안을 원치 않는다. 우리는 불안을 원치 않기 때문에 불안을 피하기 위해 방어기제를 사용한다. 불안을 주는 주요한 내용이 억압되어 의식에서 무의식으로 숨어 버린다. 당신이 모른다고 해서 억압된 내용이 사라진 것은 아니다. 그런 점에서 정신적 기능과 관련해 보지 않으면 마음이 멀어진다'는 말은 정신분석 입장에서 보면 틀린 얘기이다. 지나친 방어를 통해 당신에게 나타나는 불안을 의식하지 못한다면, 당신은 보다 본능이 지배하는 원초아의 영향을 받아 신경증적 불안으로 고통받을 것이다. 변화를 위해 당신 자신을 수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정신분석에서 저항의 해결이 치료의 법칙이기 때문이다. 치료자는 정신분석을 통해 내담자에게 불안을 야기하는 무의식에 억압된 충동을 의식할 수 있도록 한다. 프로이트가 말한 정신분석의 목적을 세 가지로 요약해 볼 수 있다. 첫째, 신경증적 고통을 인생살이에서 흔히 만나는 현실적 고통으로 변하게 하는 것이다. 둘째, '원초아가 있었던 곳에 자아가 있어야 할 것이다' 이 말은 원초아가 있던 자리에 자아로 대체함으로써 자각과 함께 갈등이 해결되는 것을 말한다. 즉, 현실 원리를 따르는 자아가 무의식에 억압된 충동을 이해하고 원초아와의 갈등을 해결하여 본능적 충동에 의해 지배되지 않고 현실적이고 합리적으로 적응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정신건강을 회복시켜 사랑과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하는 것이다.
2. 상담 과정
프로이트는 정신분석의 과정을 장기 게임을 하는 것에 비유하였다. 장기 두는 것의 시작 단계와 마무리 단계의 과정은 꽤 표준 절차에 따르지만 중간 단계는 다양한 변화에 개방적이며 예측하기가 힘들 정도로 복잡하다. 마찬가지로 정신분석적 치료자들은 시작 단계(치료 동맹), 중간 단계(훈습), 종결 단계로 정신분석 과정을 구분하며 중간 단계인 훈습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바로 우는 정신분석의 과정을 개시, 전이 발달, 훈습, 전이 해결의 네 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여기서는 정신분석의 과정을 세 단계인 치료 동맹, 훈습, 종결에 따라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1) 치료 동맹
내담자가 분석에 적절한 사람인가를 평가하여 치료계약을 맺고 전이 관계를 형성할 때까지가 치료의 초기 단계이다. 다시 말하면 화살이 지적한 개시와 전이 발달단계가 초기 단계로 치료 동맹 혹은 작업동맹이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정통적인 방법에 따른 정신분석은 장기간 진행되는 강렬한 과정이다. 따라서 시작하여 먼저 내담자가 정신분석에 적절한 능력을 갖춘 사람인가를 평가하는 것이 요구된다. 니콜라이가 제안한 분석에 적합한 다섯 가지 능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치료 동맹을 맺을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둘째, 치료 작업을 위한 충분한 시간과 경제 능력이 있어야 한다.
셋째, 치료 퇴행을 견딜 수 있는 능력과 퇴행으로 인한 불안을 극복할 능력이 있어야 한다.
넷째, 전이신경증을 형성할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
다섯째, 환상과 현실을 구별할 능력이 있어야 한다(이무석 정신분석에 적합한 내담자와 치료계약을 맺어 분석이 시작된다. 치료자는 치료 동맹을 형성하는 데 있어 비판하지 않고 공감적으로 경청하며 역전이 반응을 알아채고 필요한 정도로 내담자에게 치료의 규칙과 기본 틀을 설명한다.
2) 훈습
훈습은 환자의 통찰을 변화로 이끄는 것을 방해하는 저항을 반복적이고 점진적으로 정교하게 탐색하는 것을 말한다. 정신분석의 중기의 초점은 환자가 전이신경증을 훈습 하게 할 목적으로 전이와 저항을 분석하는 것에 있다. 분석적 과정에서 무수하게 반복해서 일어나는 일련의 절차는 ① 환자의 저항, ② 분석자의 저항에 대한 해석, ③ 환자의 해석에 대한 반응이다.
3) 종결
전이의 해결이 분석의 종결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즉, 치료자와 내담자가 분석의 주요한 목적이 달성되고 전이가 충분히 이해됐다는 것을 받아들일 때 정신분석은 종결된다.
'정신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황장애 뽀개기-증상부터 해결책까지 한번에 관통하기 (0) | 2022.07.19 |
---|---|
주요한 상담기법인 자유연상, 꿈 분석, 정화, 전이와 역전이, 저항, 해석에 관한 내용 정리 (0) | 2022.07.18 |
프로이트가 제안한 심리성적 발달 단계의 각 단계 해설 (0) | 2022.07.16 |
정신분석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성격 구조, 불안, 방어기제에 대한 개념 정리 (0) | 2022.07.15 |
망상 장애의 종류 및 원인 치료에 대한 고찰 (0) | 2022.07.07 |
댓글